남성대비 여성 임금비율
소개
여성의 사회 참여가 확대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남성 대비 여성 임금비율은 남성 근로자의 임금을 100으로 볼 때 여성 근로자의 임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며, 이는 여성의 경제적 지위 및 권리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남성 대비 여성 임금비율은 여성 월임금총액을 남성 월임금총액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으로, 이 지표는 주로 정규직 및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임금총액을 기준으로 분석합니다. 최근 2020년에서 2021년 사이의 여성임금 비율은 64.7%에서 64.6%로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여성의 임금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의 임금 증가율이 더 높아서 발생한 현상입니다.
국제적으로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여성의 임금은 남성보다 약 31.5% 정도 적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러한 성별 임금 격차의 원인 중 하나로, 여성이 출산과 육아 등으로 인해 경력을 단절하고 이후 재취업 시 종사상 지위가 낮고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의 경력 단절을 예방하고 고용의 질을 제고하는 정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고용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제3차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족 친화적인 기업 문화를 조성하고 확산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재취업을 돕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성별 임금 격차는 여성의 사회 참여를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한 노력이 이어지면서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향상되고, 사회 전반의 성별 평등이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남성대비 여성 임금비율 현황
통계표명: 남성 대비 여성 임금 현황
단위: 천원, %
연도 | 여성 월임금총액 | 남성대비비율 | 남성 월임금총액 | ||||||||||||
---|---|---|---|---|---|---|---|---|---|---|---|---|---|---|---|
2008 | 1,583 | 58.6 | 2,700 | ||||||||||||
2009 | 1,588 | 59.0 | 2,691 | ||||||||||||
2010 | 1,633 | 59.3 | 2,754 | ||||||||||||
2011 | 1,714 | 59.7 | 2,869 | ||||||||||||
2012 | 1,815 | 61.0 | 2,974 | ||||||||||||
2013 | 1,873 | 60.5 | 3,095 | ||||||||||||
2014 | 1,925 | 59.8 | 3,218 | ||||||||||||
2015 | 1,944 | 59.5 | 3,269 | ||||||||||||
2016 | 2,040 | 60.6 | 3,364 | ||||||||||||
2017 | 2,112 | 61.5 | 3,433 | ||||||||||||
2018 | 2,259 | 63.3 | 3,569 | ||||||||||||
2019 | 2,371 | 64.4 | 3,682 | ||||||||||||
2020 | 2,408 | 64.7 | 3,722 | ||||||||||||
2021 | 2,476 | 64.6 | 3,833 | ||||||||||||
2022 | 2,683 | 65.0 | 4,127 |
* 출처: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1인 이상 기준)
* 월임금총액 : 정액급여+초과급여+전년도연간특별급여/12개월
관련용어
월임금총액: 정액급여+초과급여+전년도연간특별급여/12개월
상용근로자: 근로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 또는 특별한 고용계약이 없이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더라도 계속 정규직원으로 일하면서 상여금, 퇴직금 등을 받는 근로자
남성대비 여성 임금비율: 남성 근로자의 임금을 100으로 볼 때 여성 근로자의 임금이 차지하는 비율